본문 바로가기
easy info

카카오 스테이블코인 출시 예고, 언제 발행 되나?

by easy info 2025. 8. 6.

최근 카카오그룹이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그룹 차원의 태스크포스(TF)를 출범했습니다. 플랫폼·결제·예치금 수탁 역량을 가진 핵심 계열사들이 협력해 전략을 논의 중입니다.

카카오 스테이블코인 출시

1. TF 구성 현황과 의의

카카오그룹의 TF에는 카카오,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대표가 공동 TF장을 맡고 있으며, 매주 전략 회의를 진행하며 실무팀도 함께 운영되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플랫폼(카카오톡), 결제(카카오페이), 예치·수탁(카카오뱅크) 기능을 모두 보유한 국내 유일 그룹으로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 구축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 글로벌·국내 시장 맥락

스테이블코인은 가격이 1달러에 고정돼 송금이나 결제에 적합한 디지털 자산으로, 최근 글로벌 시가총액은 약 2,573억 달러로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국내 거래도 빠르게 확대 중이며 상반기 기준으로 약 600억 달러, 즉 약 83조원 규모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3. 카카오의 전략적 목적과 기대

  • 금융 생태계 연결성 강화: 카카오톡에 블록체인 기반 지갑을 탑재하고, 카카오페이 결제망을 통해 사용, 예치금은 카카오뱅크가 수탁하는 통합 구조를 구상 중입니다.
  • 미래 성장 동력 확보: 콘텐츠·AI 분야의 성과가 부진한 상황 속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새로운 수익 모델이자 성장 엔진으로 추진하려는 전략입니다.
  • 토큰경제 확대 기반 마련: 카카오페이증권 등 계열사와의 협력을 통해 향후 증권 등 자본시장 토큰화로의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4. 경쟁 구도 및 규제 환경

원화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법안이 국회에서 발의되었으며, 최소 자본 기준을 낮춰 다양한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리는 중입니다.

다만 한국은행은 비은행권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대해 자본 유출 우려를 제기하며, 발행 권한을 특정 은행에 제한하자는 의견을 내고 있어 향후 규제 논쟁도 주목됩니다.

주요 경쟁자로는 네이버와 토스 등이 있으며, 주요 거래소 업비트와 협력해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 중인 사례도 있습니다.

5. 향후 로드맵 예측

TF와 실무팀을 중심으로 내부 전략 및 인프라 구축 논의를 이어갈 것이며, 계열사들이 참여를 확대해 전사 차원 프로젝트로 발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은행 컨소시엄도 연말까지 제도 정비 및 사업 구조 설계를 목표로 진행 중이어서, 카카오 역시 2026년 전후 원화 스테이블코인 출시를 노리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6. 주요 강점과 과제 분석

항목 카카오의 강점 향후 과제
플랫폼 역량 카카오톡, 카카오페이 등 사용자 기반 확보 블록체인 지갑과의 통합 연동 구현
금융 인프라 카카오뱅크 예치금 수탁 기능 확보 은행 규제 허들 극복 및 라이선스 확보
토큰경제 확장 카카오페이증권 등 자본시장 진출 준비 제도 정비 및 토큰화 구조 구체화
경쟁 환경 대기업 중심으로 자본·기술 역량 우위 네이버·토스 등 경쟁사와의 차별화 방향 모색

7. 결론 및 시사점

카카오는 그룹 내 플랫폼, 결제, 은행 기능을 활용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을 추진 중입니다.

향후 자본시장 토큰화, 해외 송금 활용, 금융 혁신 등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며, 이를 통해 그룹 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려는 의지가 큽니다.

다만 규제 환경이 여전히 불확실하며, 경쟁 기업과의 차별화 전략이 중요한 시점입니다.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및 TF 논의 추이를 지속적으로 주시할 가치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