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asy info

보호 출산제란, 얼마나 알고 있나

by easy info 2025. 7. 19.

 

 

보호 출산제 – 2025년 최신 안내

‘익명으로 안전하게 출산하고, 원하면 양육을 포기할 수 있는’ 보호출산제는 위기 상황의 임산부와 신생아를 보호하기 위해 2024년 도입된 새로운 제도입니다.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난 지금, 기본 개념부터 신청 방식, 활용 현황과 논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보호출산제란

1. 보호출산제란?

  • 공식 명칭은 ‘위기임신보호출산제’로, 익명 출산과 가명 진료가 가능한 제도입니다.
  • 경제적·심리적·신체적 어려움을 겪는 임산부가 대상이며, 익명으로 의료기관에서 출산할 수 있습니다.
  • 출생 통보제와 연계되어 출생 사실이 지자체에 안전하게 통보됩니다.

2. 주요 내용 구조

  1. 익명 출산 신청 – 임산부는 가명과 전산번호로 의료기관에서 임신·출산 진행하며 상담·의료지원 제공.
  2. 숙려 기간(최소 7일) 후 양육 여부 결정, 양육 포기 시 입양 절차 진행.
  3. 출생 정보 공개 권리 – 아이가 성인이 되면 친모의 동의 하에 출생서류 열람 가능.
  4. 의료비 전액 지원 – 가명 진료·출산 비용도 국가가 부담.

3. 제도 시행 배경과 목적

  • 익명 출산으로 인한 의료기관 밖 출산이나 유기 위험을 차단하려는 목적.
  • 기존 영아 유기율 감소 및 아동의 생명권 보호를 위한 장치입니다.
  • 의료기관 출생통보제와 함께 아동 신원 등록과 안전망을 강화하는 포괄 정책.

4. 신청 절차 요약

 

  • 위기임신상담센터나 의료기관 방문
  • 제도 안내 및 익명 여부 상담
  • 가명 부여 및 진료·출산 진행
  • 숙려 기간 제공 후 양육 여부 결정
  • 양육 포기 시 지자체에 인계, 입양 절차 착수

5. 1년간 정책 성과

  • 2024년 7월~2025년 6월: 총 상담 1,882건, 보호출산 선택 107건.
  • 원가정 양육 결정 160건, 입양 32건으로, 공적 체계 내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됨.
  • 익명 출산 후 유기아동 수는 전년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감소.
  • 6개월 성과 보고: 901명 상담, 심층 상담 178건 중 52건 보호출산 선택.

6. 장점과 필요성

  • 의료기관에서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어 출산·유기 위험 감소
  • 가명 출산과 비용 지원으로 위기임산부 심리적 부담 경감
  • 출생 통보로 아동 생명권과 국가 보호망 연결
  • 익명성과 아동 신원 보호 사이 적절한 균형 설정

7. 주요 논란 요약

  • 아동 알 권리 침해 우려 – 친모 정보 공개 제한이 아동의 정체성 권리를 위협.
  • 정상가족 편중 시각 – 비혼모·다문화·장애인 임산부의 지원 체계 미비 문제.
  • 장애·이주 여성을 포함한 포괄 지원 미흡 – 이주여성 비율 높음에도 제도에서 배제 가능성.
  • 양육 의무 부담 불균형 – 아버지 책임 언급 부족 및 양육비 실효성 문제 존재.

8. 향후 보완 방향

  • 익명·알권리 균형 강화: 친모 정보 공개 절차 명확화
  • 사회적 편견 해소 및 비혼·다문화·장애 임산부 지원 강화
  • 입양 후 아동 인권 보장 및 보호 유기 방지 제도 정비
  • 가족·아동 정책 통합형 지원체계 구축 필요

9. 주요 기관 및 상담 창구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아동권리보장원 바로가기
▶ 상담번호: 1308 (위기임신·보호출산 상담센터 운영)

10. 요약 정리

  • 익명 출산, 국가 의료비 지원, 숙려 기간 보장
  • 1년간 상담 1882건, 보호출산 107건 선택
  • 익명 출산과 아동 알 권리의 조화 과제 존재
  • 제도 개선 통해 비혼·이주·장애 임산부 포함 확대 필요

보호출산제가 ‘마지막 안전망’으로 제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해, 사회는 정보 접근성 확대와 제도적 보완이 꾸준히 이어져야 합니다. 

반응형